비활성 주제98 희오피스 l 웹 브라우저에서 '한글 입력'이 안될 때 한/중/일을 교차해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보통 shift+alt로 언어 전환을 해가며 입력하지만, 요즘들어 회사 컴퓨터에서 이 키가 안먹힐 때가 많다. 갑자기 왜 이러는지는 모르겠지만 구글 검색을 하며 하라는 것들 다 해봐도 모두 소용이 없고 마지막에 먹히는 방법을 하나 찾아냈다. 해당 블로거가 알려준 방법은 윈도우키+R을 누르면 실행창이 뜨는데 거기 열기(O): □ 라고 되어 있는 부분에 ctfmon.exe라고 입력하고 오른쪽 하단 언어입력기에서 한글을 지정하는 것. 하면 신기하게도(?) 크롬에서 다시 한글이 써진다... 그러나 역시 컴알못인 나는 왜 그렇게 되는지는 모르고, 어쨌든 한글이 안써지는 충돌(?)이 이후 자주 생기는데 그때마다 유용하게 써먹고 있다. 출처를 쓰고 싶지만 검색한 지 오래되어.. 2021. 3. 30. 짠테크 l 체크카드 대신 차이(Chai)카드 활용하기 신용카드 충성고객 → 체리피커 → 차이카드한 때 한 카드사의 한 카드 혜택만을 믿고 장기 고객으로 기여하던 어리석은 때가 있었다. 한 카드만 쓰면 신용등급도 좋아지고 혜택도 좋아지리라 믿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절대로 그렇지가 않았다. 신용카드는 혜택에 따라 가입하거나 해지해야 실질적인 혜택을 볼 수 있다. 카드 하나만 쓰던 날들은 이제 끝났다. 각종 카드사 가입 서비스에 눈을 떴다. 네이버페이나 토스 등을 통해 신용카드에 가입했고 캐시백 서비스를 받았다. 각회사의 카드를 바꿔 써가며 여러 회사의 서비스를 두루 경험해보았다. 혜택이 끝나면 다른 신용카드로 갈아탔다. 카드 풍차를 5개월 정도 돌리고 나니 더 이상 사용할 카드가 없었다. 체크카드도 실적이 필요해 크게 마음이 동하지 않았다. 그러던 중 차이카.. 2021. 3. 27. 농사이론 l 당근(4월, 8월): 당근 파종 시기와 방법 [파종 시기] 4월, 8월 [수확 시기] 조생종은 파종 후 70~80일 중생종은 파종 후 80~90일 [밭 준비하기] 1. 매끈한 당근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돌을 잘 골라내어 흙을 보슬보슬하게 해줘야 한다. 2. 돌이 많으면 못난이 당근이 나오기 쉽다. [파종하기] 1. 이랑의 중심에 이랑과 평행하도록 손가락으로 길을 내준다. 2. 손가락으로 길낸 부분을 따라 당근 씨앗을 줄뿌림 한다. 3. 당근은 발아율이 낮기 때문에 씨앗을 다닥다닥 뿌려주고 나중에 솎아준다(뿌리째 뽑기). 4. 당근은 모종을 옮겨심으면 기형으로 자랄 수 있기 때문에 직파하는 편이 낫다. [솎아주기] 1. 당근 싹이 뿌리는대로 올라온다면 솎아주기를 한다. 2. 솎아주기는 한번에 하지 않고 3~4번에 걸쳐 성장세를 보아가며 한다. 3. 본.. 2021. 3. 24. 농사이론 l 상추(3~4, 8월): 상추 파종 시기와 방법 [파종 시기]3~4월, 8월 날씨가 더우면 꽃대를 올리고 녹을 수 있으므로 선선한 시기에 파종한다. [수확 시기] 파종 약 4주 이후 [밭 준비하기]1. 완숙 퇴비와 깻묵을 거름으로 사용한다. 2. 배수가 좋은 곳은 이랑을 낮게 배수가 좋지 않은 곳은 이랑을 다소 높게 만든다. [파종하기] 1. 씨 간격이 최소 1cm가 되도록 일렬로 심는다. 2. 2~3mm 정도 가볍게 복토(흙 덮기)해준다.3. 파종한 후에는 물구멍이 작은 물뿌리개로 조심해서 물을 준다. 상추 씨는 가벼워서 물에 떠내려가기 쉽다. [성장경과] 1. 파종 1주일 후 떡잎 2. 파종 2주일 후 본잎 3. 파종 4주 본잎 4장 이상 4. 이 때 일부는 모종삽으로 떠서 옮겨심어준다. 포기간 간격은 10cm 내외. [수확]1. 처음 수확시에는 .. 2021. 3. 23.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5 다음